Algorithm/Basic

[Python] 6016 ~ 6031 -- 입출력, 형변환

2024. 6. 25. 23:26

 

진도가 팍팍 안나가는 느낌이 든다.

그래도 타자 쳐보면서 동작되는걸 보는게 손과 머리에 익히기 좋겠지?

인내심을 가지자.

 

 

 

print(float(f1) + float(f2))

 

0.2 + 0.1 = 0.30000000000000004

 

https://brownbears.tistory.com/513

 

[Python] 실수를 사칙연산할 때 주의점

최근 값을 계산하는 로직을 개발하면서 기본적이지만 까먹고 있었던 부분에서 애를 먹었습니다. 파이썬에서는 실수 (유리수 + 무리수)를 부동 소수점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소수점이 있는 계산

brownbears.tistory.com

 

 

"""
6016 ~ 6024
"""

# 6016 -- 2개의 문자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 -> 순서 바꿔 출력
while True:
    try:
        c1, c2 = input("1 1 -- ").split()
        print(c2, c1)
        break
    except ValueError:
        print("Invalid input")


# 6017 -- 정수, 실수, 문자, 문자열 등 1개만 입력받아 한 줄로 3번 출력
c3 = input("1 -- ")
print(c3, c3, c3)


# 6018 -- 시:분 한 줄로 입력 -> 그대로 출력
t1, t2 = input("1:1 -- ").split(':')
print(t1, t2, sep=':')


# 6019 -- 2020.3.4 -> 4-3-2020
y, m, d = input("1111.1.1 -- ").split('.')
print(d, m, y, sep='-')


# 6020 -- 000907-1121112 -> 0009071121112
# 아무것도 없는 공(empty) 문자는 작은 따옴표(') 2개를 붙여서 '' 로 표현한다.
num1, num2 = input("111-111 -- ").split('-')
print(num1, num2, sep='')


# 6021 --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단어 1개가 입력 -> 한 줄에 한 문자씩 분리해 출력
s1 = input("111 -- ")
for i in range(len(s1)):
    print(s1[i])


# 6022 -- 200304 -> 20 03 04
# s[a:b] 라고 하면, s라는 단어에서 a번째 문자부터 b-1번째 문자까지 잘라낸 부분
s2 = input("숫자 6자리 -- ")
print(s2[0:2], s2[2:4], s2[4:6])


# 6023 -- 17:23:57 -> 23
t3 = input("12:34:56 -- ").split(':')
print(t3[1])


# 6024 -- hello world -> helloworld
w1, w2 = input("asd asd -- ").split()
print(w1 + w2)

 

 

"""
6025 ~ 6031
"""
# 입력되는 값은 기본적으로 문자열로 인식


# 6025 -- 정수 2개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
d1, d2 = input("123 -123 -- ").split()
print(int(d1) + int(d2))


# 6026 -- 실수 2개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
f1 = float(input("0.1 -- "))
f2 = float(input("0.9 -- "))
print(float(f1) + float(f2))


# 6027 -- 10진수를 입력받아 16진수(hexadecimal)로 출력
d3 = int(input("255 -- "))
print('%x' % d3)


# 6028 -- 10진수 -> 16진수 대문자
d4 = int(input("255 -- "))
print('%X' % d4)


# 6029 -- 16진수를 입력받아 8진수(octal)로 출력
x1 = int(input("f -- "), 16)
print('%o' % x1)


# 6030 -- 영문자 1개를 입력받아 10진수 유니코드(Unicode) 값으로 출력
u1 = ord(input("A -- "))
print(u1)


# 6031 -- 10진 정수 1개를 입력받아 유니코드 문자(character)로 출력
d5 = int(input("65 -- "))
print(chr(d5))

 

 

 

 

 

 

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(새창열림)
'Algorithm/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Python] 6046 ~ 6064 -- 비트연산, 논리연산, 3항연산
  • [Python] 6032 ~ 6045 -- 산술 연산
  • [Python] 6001 ~ 6015 -- 출력, 입출력
  • [이.코.테] 복잡도
함s
함s
개발함
함s
함함ː
함s

CALENDAR

«   2025/05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  • 분류 전체보기 (210)
    • TIL (6)
      • thought (2)
    • Algorithm (81)
      • Basic (66)
      • Greedy (5)
      • Implementation (3)
      • DFS BFS (7)
      • Sorting (0)
    • Front (29)
      • HTML Css (7)
      • JavaScript (17)
      • Jquery (2)
      • Vue.js (2)
      • React.js (1)
    • Node.js (5)
    • Java (43)
      • Basic (22)
      • MVC -- JSP & Servlet (18)
      • Handler (1)
      • Data (2)
    • Spring (27)
      • Spring_inflearn (9)
      • Spring Boot (7)
      • MyBatis (1)
      • Spring Data JPA (7)
      • REST API (3)
    • SQL (2)
    • Mac (13)
    • Git (4)
    • Project (0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방명록
  • 글쓰기

인기 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함s
[Python] 6016 ~ 6031 -- 입출력, 형변환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