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엔 증감연산자가 없다니 웁싀~~
"""
선택실행구조
6065 ~ 6070
"""
# 6065 -- 3개의 정수(a b c)가 입력되었을 때, 짝수만 출력
a, aa, aaa = input("1 2 4 -- ").split()
a, aa, aaa = int(a), int(aa), int(aaa)
if a % 2 == 0:
print(a)
if aa % 2 == 0:
print(aa)
if aaa % 2 == 0:
print(aaa)
# 입력 값을 받아 정수로 변환
numbers = map(int, input("1 2 4 -- ").split())
for num in numbers:
if num % 2 == 0:
print(num)
# 6066 -- 3개의 정수(a b c)가 입력되었을 때, 짝(even)/홀(odd)을 출력
numbers = map(int, input("1 2 4 -- ").split())
for num in numbers:
if num % 2 == 0:
print("even")
else:
print("odd")
# 6067 -- 0이 아닌 정수 1개가 입력되었을 때, 음(-)/양(+)과 짝(even)/홀(odd)을 구분
b = int(input("2 -- "))
if b < 0:
print("A" if (b % 2 == 0) else "B")
else:
print("C" if (b % 2 == 0) else "D")
print("A" if b < 0 and b % 2 == 0 else "B" if b < 0 else "C" if b % 2 == 0 else "D")
# 6068 -- 점수(정수, 0 ~ 100)를 입력받아 평가를 출력
score = int(input("80 -- "))
if score >= 90:
print("A")
elif score >= 70:
print("B")
elif score >= 40:
print("C")
else:
print("D")
print("A" if score >= 90 else "B" if score >= 70 else "C" if score >= 40 else "D")
# 6069 -- 평가를 문자(A, B, C, D, ...)로 입력받아 내용을 다르게 출력
grade = input("A -- ")
print(
"best!!!" if grade == "A" else "good!!" if grade == "B" else "run!" if grade == "C" else "slowly~" if grade == "D" else "what?")
# 6070 -- 월이 입력될 때 계절 이름이 출력
# // -- 나눗셈 몫
month = int(input("12 -- "))
print("spring" if month // 3 == 1 else "summer" if month // 3 == 2 else "fall" if month // 3 == 3 else "winter")
"""
반복실행구조
6071 ~ 6076
"""
# 6071 -- 0이 아니면 입력된 정수를 출력하고, 0이 입력되면 출력을 중단
n = 1
while n != 0:
n = int(input("0 -- "))
if n != 0:
print(n)
# 6072 -- 정수(1 ~ 100) 1개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다운을 출력
countdown = int(input("3 -- "))
while countdown != 0:
print(countdown)
countdown -= 1
# 6073 -- 1만큼씩 줄이면서 카운트다운 수가 0이 될 때까지 한 줄에 1개씩 출력
countdown = int(input("3 -- "))
while countdown != 0:
countdown -= 1
print(countdown)
# 6074 -- a부터 입력한 영문소문자까지의 알파벳을 순서대로 출력
# ord() -- 단일 문자를 입력받아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(또는 아스키) 값을 반환
# chr() -- 유니코드 값을 입력받아 해당 유니코드 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
start = ord('a')
end = ord(input("d -- "))
while start <= end:
print(chr(start), end=' ')
start += 1
print() # 엔터
# 6075 -- 정수(0 ~ 100) 1개를 입력받아 0부터 그 수까지 순서대로 출력
d = int(input("3 -- "))
i = 0
while d >= i:
print(i)
i += 1
# range(3) 은 0, 1, 2 인 수열
# range(끝)
# range(시작, 끝)
# range(시작, 끝, 증감)
# 시작 수는 포함이고, 끝 수는 포함되지 않는다.
# 증감할 수를 작성하지 않으면 +1이 된다.
for j in range(d+1):
print(j)
https://dotiromoook.tistory.com/28
[python] map 함수 사용법, 동작원리 및 특징 (예제포함)
python에 map 함수에 대해 알아봅시다. Python의 map() 함수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받아서 각각의 요소에 함수를 적용한 결과를 반환하는 내장 함수입니다. 리스트, 튜플 등의 반복 가능한(iterable) 객체
dotiromoook.tistory.com
https://ondemand.tistory.com/255
파이썬 Python 에는 증감연산자(++, --)가 있다, 없다?
전통적인(?) 많은 개발 언어에서 를 사용해 왔습니다. ++ 혹은 -- 로 표기되는 는 와 마찬가지로 코드의 양을 많이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됩니다. 가령 아래의 코드와 같은 방법으
ondemand.tistory.com
파이썬 따옴표의 차이(Python "", '')
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만들 때 ' ' 나 " " 이용합니다. 모두 문자열을 표시한다는 것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작은 따옴표의 경우 하나의 단위를 표현하는 문자열에, 큰 따옴표는 문법적으로 의미
pwnbit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