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""
종합 (1)
6077 ~ 6080
"""
# 6077 -- 정수(1 ~ 100) 1개를 입력받아 1부터 그 수까지 짝수의 합
a = int(input("5 -- "))
n = 0
while n <= a:
n += 2
print(n)
n = 0
for i in range(1, a + 1):
if i % 2 == 0:
n += i
print(n)
# 6078 -- 영문 소문자 'q'가 입력될 때까지 입력한 문자를 계속 출력
while True:
a = input("q -- ")
if a != "q":
print(a)
else:
print(a)
break
# 할당 표현식 (:=) -- input("q -- ")의 결과를 a에 할당하고, 그 값을 반환
while (a := input("q -- ")) != "q":
print(a)
print(a)
# 6079 -- 1, 2, 3, 4, 5 ... 를 순서대로 계속 더해 합을 만들어가다가,
# 입력된 정수와 같거나 커졌을 때, 마지막에 더한 정수를 출력
a = int(input("55 -- "))
n = 0
for i in range(1, a + 1):
n += i
if n >= a:
print(i)
break
n, i = 0, 0
while n < a:
i += 1
n += i
print(i)
# 6080 -- 서로 다른 주사위 2개를 던졌을 때,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출력
# 서로 다른 주사위 2개의 면의 개수
a, b = input("2 3 -- ").split()
a, b = int(a), int(b)
for i in range(1, a + 1):
for j in range(1, b + 1):
print(f"{i} {j}")
a, b = map(int, input("2 3 -- ").split())
# 리스트 내포(List Comprehension) -- [expression for item in iterable if condition]
print('\n'.join(f"{i} {j}" for i in range(1, a + 1) for j in range(1, b + 1)))
https://dojang.io/mod/page/view.php?id=2480
파이썬 코딩 도장: 47.15 할당 표현식 사용하기
할당 표현식(assignment expression)은 표현식 안에서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입니다. :=와 같이 사용하며 바다 코끼리 연산자(walrus operator)라고도 부릅니다. :=에서 :은 눈, =은 엄니를 닮았다고 해서
dojang.io
https://devpouch.tistory.com/76#google_vignette
[Python] 파이썬 리스트 내포(List comprehension)
리스트 내포(List comprehension) 파이썬에서는 for문과 if문을 한 라인에 작성하여 코드를 직관적으로 만들고 실행속도를 높혀주는 기법인 리스트 내포(List comprehension)기법이 존재합니다. 사용 방법은
devpouch.tistory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