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DB 종류 및 변천사
1. H2 DataBase
- 개발이나 테스트 용도로 가볍고 편리한 DB, 웹화면 제공
2. 순수 Jdbc
- 20여년 전에 쓰였던 노가다성 DB
3. 스프링 JdbcTemplate
- 순수 Jdbc에서 중복을 제거하고 보다 쓰기 편리하게 나온 템플릿
4. JPA
- 개발자들이 직접 SQL 문을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작성해줌
- 스프링만큼이나 오래된 기술
5. 스프링 데이터 JPA
- JPA를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감싼 기술
1. H2 DataBase
- 개발이나 테스트 용도로 가볍고 편리한 DB, 웹화면 제공
https://www.h2database.com/html/main.html
다운로드 받은 파일 압축 풀고 bin 폴더에서 터미널 켜서 설치
chmod 755 h2.sh
./h2.sh
홈에 test.mv.db가 만들어져있어야 함.
초기에 지정된 URL 로 실행하면 파일로 접근하게 돼서 동시에 애플리케이션과 웹 콘솔이 접근이 안될 수 있음 (충돌)
그래서 경로를 하기와 같이 수정하면
jdbc:h2:tcp://localhost/~/test
파일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소켓을 통해서 접근하게 되어서
여러군데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된다!
혹시나~ 서버가 문제가 있거나 꼬여서 안되면 test 파일을 지우고
서버를 껐다가 다시 켜보기
rm test.mv.db
table 만들기
(*) SQL 문은 src밖에 따로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관리
-> Git 등에서 소스 공유하면 변경 내역을 파악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