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et(key, default)
딕셔너리에서 key 로 value 를 불러오는 함수. 값이 없으면 defalut 리턴.
original.extend(new_list)
리스트 합치기 -- 원본 리스트가 변함
(+ 연산자 -- 합쳐진 리스트를 새로 반환)
list(filter(lambda i: arr[i] == 2, range(len(arr))))
list에서 value 로 다중 index 찾기
'''
리스트 (배열)
# 56) 리스트 자르기
# 57) 첫 번째로 나오는 음수
# 58) 배열 만들기 3
# 59) 2의 영역
# 60) 배열 조각하기
'''
# 56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cut_list(n, slicer, num_list):
a, b, c = slicer
if n == 1: return num_list[:b+1]
elif n == 2: return num_list[a:]
elif n == 3: return num_list[a:b+1]
elif n == 4: return num_list[a:b+1:c]
return num_list
'''
return [num_list[:b + 1], num_list[a:], num_list[a:b + 1], num_list[a:b + 1:c]][n - 1]
slices = {
1: num_list[:b+1],
2: num_list[a:],
3: num_list[a:b+1],
4: num_list[a:b+1:c]
}
return slices.get(n, num_list)
'''
# [2, 3, 4, 5, 6]
print(cut_list(3, [1, 5, 2], [1, 2, 3, 4, 5, 6, 7, 8, 9]))
# 57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find_minus(num_list):
for i, num in enumerate(num_list):
if num < 0:
return i
return -1
'''
JS
const solution = num_list => num_list.findIndex(v => v < 0)
'''
print(find_minus([12, 4, 15, 46, 38, -2, 15])) # 5
print(find_minus([13, 22, 53, 24, 15, 6])) # -1
# 58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two_arr(arr, intervals):
answer = []
for a, b in intervals:
answer.extend(arr[a:b+1])
return answer
'''
JS
const [[a,b],[c,d]] = intervals;
return [...arr.slice(a, b+1), ...arr.slice(c, d+1)];
'''
# [2, 3, 4, 1, 2, 3, 4, 5]
print(two_arr([1, 2, 3, 4, 5], [[1, 3], [0, 4]]))
# 59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find_2_range(arr):
index_list = list(filter(lambda i: arr[i] == 2, range(len(arr))))
if not index_list:
return [-1]
return arr[index_list[0]:index_list[-1]+1]
'''
if 2 not in arr:
return [-1]
return arr[arr.index(2) : len(arr) - arr[::-1].index(2)]
'''
'''
JS
const from = arr.indexOf(2);
const end = arr.lastIndexOf(2);
return from === -1 ? [-1] : arr.slice(from, end+1);
'''
print(find_2_range([1, 2, 1, 2, 1, 10, 2, 1])) # [2, 1, 2, 1, 10, 2]
print(find_2_range([1, 2, 1])) # [2]
print(find_2_range([1, 1, 1])) # [-1]
# 60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 짝수 -- 인덱스 뒷부분 버리기
# 홀수 -- 인덱스 앞부분 버리기
def cut_arr(arr, query):
for i, q in enumerate(query):
if i % 2 == 0:
arr = arr[:q+1]
else:
arr = arr[q:]
return arr
'''
JS
query.map((v,i)=>i%2?arr.splice(0,v):arr.splice(v+1))
'''
print(cut_arr([0, 1, 2, 3, 4, 5],[4, 1, 2])) # [1, 2, 3]
https://velog.io/@ash5541/get-get%EB%A9%94%EC%84%9C%EB%93%9C%EB%9E%80
파이썬 get() get메서드란?
get() 메서드는 딕셔너리에서 주어진 키(key)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.get() 메서드는 두 개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습니다. 첫 번째 파라미터는 찾고자하는 키(key)이고, 두 번째 파
velog.io
https://splayer.tistory.com/15
Python 두개 리스트를 하나로 합치기
리스트 두 개를 하나의 리스트로 합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+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 기본적인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+ 연산자를 사용하여 2개의 리스트를 합칠 수 있습니다. + 연
splayer.tistory.com
https://bill1224.tistory.com/228
[ python ] list 에서 value 값으로 다중 index 찾기
result = [1,2,3,4,5,3] result 라는 list 에서 원소값이 3인 index번호를 알고 싶을 때는??! print(test_list.index(3)) index() 를 사용하게되면 list안에 중복된 value가 있을 때에는 index 번호가 빠른 것만 결가값이 나
bill1224.tistory.com
https://dojang.io/mod/page/view.php?id=2360
파이썬 코딩 도장: 32.2 람다 표현식과 map, filter, reduce 함수 활용하기
람다 표현식 작성 방법을 알아보았으니 이번에는 람다 표현식과 map, filter, reduce 함수를 함께 사용해보겠습니다. 32.2.1 람다 표현식에 조건부 표현식 사용하기 먼저 람다 표현식에서 조건부 표
dojang.io
get(key, default)
딕셔너리에서 key 로 value 를 불러오는 함수. 값이 없으면 defalut 리턴.
original.extend(new_list)
리스트 합치기 -- 원본 리스트가 변함
(+ 연산자 -- 합쳐진 리스트를 새로 반환)
list(filter(lambda i: arr[i] == 2, range(len(arr))))
list에서 value 로 다중 index 찾기
'''
리스트 (배열)
# 56) 리스트 자르기
# 57) 첫 번째로 나오는 음수
# 58) 배열 만들기 3
# 59) 2의 영역
# 60) 배열 조각하기
'''
# 56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cut_list(n, slicer, num_list):
a, b, c = slicer
if n == 1: return num_list[:b+1]
elif n == 2: return num_list[a:]
elif n == 3: return num_list[a:b+1]
elif n == 4: return num_list[a:b+1:c]
return num_list
'''
return [num_list[:b + 1], num_list[a:], num_list[a:b + 1], num_list[a:b + 1:c]][n - 1]
slices = {
1: num_list[:b+1],
2: num_list[a:],
3: num_list[a:b+1],
4: num_list[a:b+1:c]
}
return slices.get(n, num_list)
'''
# [2, 3, 4, 5, 6]
print(cut_list(3, [1, 5, 2], [1, 2, 3, 4, 5, 6, 7, 8, 9]))
# 57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find_minus(num_list):
for i, num in enumerate(num_list):
if num < 0:
return i
return -1
'''
JS
const solution = num_list => num_list.findIndex(v => v < 0)
'''
print(find_minus([12, 4, 15, 46, 38, -2, 15])) # 5
print(find_minus([13, 22, 53, 24, 15, 6])) # -1
# 58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two_arr(arr, intervals):
answer = []
for a, b in intervals:
answer.extend(arr[a:b+1])
return answer
'''
JS
const [[a,b],[c,d]] = intervals;
return [...arr.slice(a, b+1), ...arr.slice(c, d+1)];
'''
# [2, 3, 4, 1, 2, 3, 4, 5]
print(two_arr([1, 2, 3, 4, 5], [[1, 3], [0, 4]]))
# 59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def find_2_range(arr):
index_list = list(filter(lambda i: arr[i] == 2, range(len(arr))))
if not index_list:
return [-1]
return arr[index_list[0]:index_list[-1]+1]
'''
if 2 not in arr:
return [-1]
return arr[arr.index(2) : len(arr) - arr[::-1].index(2)]
'''
'''
JS
const from = arr.indexOf(2);
const end = arr.lastIndexOf(2);
return from === -1 ? [-1] : arr.slice(from, end+1);
'''
print(find_2_range([1, 2, 1, 2, 1, 10, 2, 1])) # [2, 1, 2, 1, 10, 2]
print(find_2_range([1, 2, 1])) # [2]
print(find_2_range([1, 1, 1])) # [-1]
# 60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 짝수 -- 인덱스 뒷부분 버리기
# 홀수 -- 인덱스 앞부분 버리기
def cut_arr(arr, query):
for i, q in enumerate(query):
if i % 2 == 0:
arr = arr[:q+1]
else:
arr = arr[q:]
return arr
'''
JS
query.map((v,i)=>i%2?arr.splice(0,v):arr.splice(v+1))
'''
print(cut_arr([0, 1, 2, 3, 4, 5],[4, 1, 2])) # [1, 2, 3]
https://velog.io/@ash5541/get-get%EB%A9%94%EC%84%9C%EB%93%9C%EB%9E%80
파이썬 get() get메서드란?
get() 메서드는 딕셔너리에서 주어진 키(key)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.get() 메서드는 두 개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습니다. 첫 번째 파라미터는 찾고자하는 키(key)이고, 두 번째 파
velog.io
https://splayer.tistory.com/15
Python 두개 리스트를 하나로 합치기
리스트 두 개를 하나의 리스트로 합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+ 연산자를 사용하는 방법 기본적인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+ 연산자를 사용하여 2개의 리스트를 합칠 수 있습니다. + 연
splayer.tistory.com
https://bill1224.tistory.com/228
[ python ] list 에서 value 값으로 다중 index 찾기
result = [1,2,3,4,5,3] result 라는 list 에서 원소값이 3인 index번호를 알고 싶을 때는??! print(test_list.index(3)) index() 를 사용하게되면 list안에 중복된 value가 있을 때에는 index 번호가 빠른 것만 결가값이 나
bill1224.tistory.com
https://dojang.io/mod/page/view.php?id=2360
파이썬 코딩 도장: 32.2 람다 표현식과 map, filter, reduce 함수 활용하기
람다 표현식 작성 방법을 알아보았으니 이번에는 람다 표현식과 map, filter, reduce 함수를 함께 사용해보겠습니다. 32.2.1 람다 표현식에 조건부 표현식 사용하기 먼저 람다 표현식에서 조건부 표
dojang.io